본문 바로가기
고등 내용정리/국어내용정리

가사문학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복선화음가, 일동장유가, 견흥, 방불가)

by 늦깎이 학생 2024. 5. 21.
728x90
반응형

복선화음가 (작자 미상)

현대어 풀이

  1. 대마구종춘득이요전갈하님영매로다:
    • 현대어 풀이: 큰 말을 끌고 가는 하인은 춘득이고, 소식을 전해주는 계집종은 영매이다. 이는 화자의 딸이 시집갈 때 넉넉한 재산과 여러 하인들과 함께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2. 대한불갈:
    • 현대어 풀이: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음.
  3. 신행:
    • 현대어 풀이: 혼인할 때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신랑 집으로 감.
  4. 부동하여:
    • 현대어 풀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 유려한 동작을 하다.
  5. 복선화음:
    • 현대어 풀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내림.
  6. 포진천물:
    • 현대어 풀이: 물건을 함부로 쓰고도 아까운 줄 모름.
  7. 효봉구고:
    • 현대어 풀이: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김.
  8. 순승군자:
    • 현대어 풀이: 남편을 순순히 따름.
  9. 지친화목:
    • 현대어 풀이: 가까운 가족끼리 화목하게 지냄.
  10. 화류시:
    • 현대어 풀이: 화전놀이할 때.

감상 포인트

이 작품은 조선 후기 경북 안동 지방에서 유행한 규방가사로, 결혼한 여성이 지켜야 할 부덕을 자기 서사의 형식으로 제시한 교훈서에 해당한다. 어머니인 화자가 딸에게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어머니의 삶을 회고하고, 부덕을 지키는 여인의 덕목을 강조한다. 작품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 부분은 어머니의 성공담, 두 번째 부분은 반면교사로서의 괴똥어미의 실패담, 세 번째 부분은 딸에게 덕목을 당부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일동장유가 (김인겸)

현대어 풀이

이 작품은 조선 영조 때의 문인 김인겸이 쓴 장편 기행가사로, 작가가 통신사의 일원으로 한양을 출발해서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기까지의 약 1개월간의 여정을 담고 있다. 자연환경, 문물제도, 인물, 풍속, 사건 등을 매우 상세하게 기록하며 조선의 문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우월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감상 포인트

김인겸은 객관적인 관찰과 주체적 정신을 바탕으로 일본 문물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취했다. 이 작품은 홍순학의 「연행가」와 함께 장편 기행가사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조선통신사의 활동과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반응형

 

복선화음가,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 〈김씨계녀 □〉를 중심으로 -, 토론 - 질의 -, 조선후기 여성치산과 <복선화음가>, 복선화음가 해설, 복선화음가 전문, 일동장유가, 일동장유가 해설, 일동장유가 전문, 일동장유가 핵심정리, 일동장유가 문제, 일동장유가 해석, 견흥, 허난설헌 견흥, 견흥 오수 제5수, 견흥 팔수 제3수, 방물가, 가진 방물가, 김세윤 경기12잡가 중 방물가, 가진방물가, 갖은방물가


견흥 (허난설헌)

현대어 풀이

이 작품은 허난설헌이 지은 한시로, 제목인 '견흥'은 '흥에 겨워'라는 의미이다. 이 시는 허난설헌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녀의 감정을 담아 남편에게 지조를 지킬 것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감상 포인트

허난설헌은 남편에게 자신의 사랑을 지키고 다른 여인에게 마음을 주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가부장적인 조선 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드러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방물가 (작자 미상)

현대어 풀이

  1. 고불도리: 둥글게 만든 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2. 용장봉장: 용의 모양을 새긴 옷장과 봉황의 모양을 새겨 꾸민 옷장.
  3. 밀화불수: 밀화로 부처 손같이 만든 여자의 패물.
  4. 밀화장도: 밀화로 꾸민 작은 칼로 주머니 속에 넣거나 옷고름에 늘 차고 다니는 칼.

표현상 특징

  • 대화 형식을 통해 이별에 대한 여성과 남성 화자의 상이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 부정의 표현과 직설적 표현을 통해 이별을 거부하는 여성 화자의 의지를 부각하고 있다.
  • 특정 구절을 반복하여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여 남성 화자가 제안하는 바를 강조하고 있다.

의의

이 작품은 조선 후기 12잡가 중 하나로, 옛 물건들의 이름과 그 당시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알 수 있다. 사설시조의 중장과 판소리와의 교섭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