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등 내용정리/국어내용정리21

고전시가, 근대시가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여승, 샛별 지자 종다리 떴다, 시비에 개 짖거늘, 논발 갈아 김매고) 여승(백석)원문백석 여승 분석 입니다. 여승(女僧)은 합장(合掌)하고 절을 했다.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나는 불경(佛經)처럼 서러워졌다. 평안도(平安道)의 어느 산 깊은 금덤판나는 파리한 여인에게서 옥수수를 샀다.여인(女人)은 나어린 딸아이를 따리며 가을밤같이 차게 울었다. 섶벌같이 나아간 지아비 기다려 십년(十年)이 갔다.지아비는 돌아오지 않고어린 딸은 도라지꽃이 좋아 돌무덤으로 갔다.산(山) 꿩도 섧게 울은 슬픈 날이 있었다.산(山) 절의 마당귀에 여인의 머리오리가 눈물방울과 같이 떨어진 날이 있었다. 시 감상이 시는 일제 강점기 1930년대의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그려낸 작품으로, 화자는 현재 만난 여승이 과거 평안도 금정판에서 만났던 여인임을 회상합니다. 그녀는 가.. 2024. 5. 24.
보리피리, 안민가, 용비어천가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현대시, 10구체 향가) 보리피리 - 한하운감상 포인트비극적 삶의 반영: 한하운은 나병으로 고통받았던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이 시를 창작했다. 시인은 보리피리를 통해 고향, 어린 시절, 인간사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고독한 방랑자의 삶의 서러움을 드러낸다.민요풍의 서정성: 이 시는 민요적인 리듬과 서정적인 가락을 통해 독자에게 감동을 준다.보리피리 불며    봄 언덕    고향 그리워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꽃 청산    어릴 때 그리워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인환의 거리    인간사 그리워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방랑의 기산하    눈물의 언덕을    피-ㄹ닐니리.   주제그리움과 방랑: 시인은 고향과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며, 방랑하는 삶의 고통을 노래한다. 이로써.. 2024. 5. 23.
고대가요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공무도하가, 헌화가,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보내는 시, 동동, 황계사, 이화에 월백하고, 까마귀 눈비 맞아, 이별하던 날에) 배경지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대 가요나 향가 등이 출제되면, 제시된 보기를 통해 작품의 배경과 의미를 이해하고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문학 작품의 기본 용어나 이론을 공부하고, 수능에서는 학생들이 보기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므로, 제시된 정보를 정리하고 지문에 연결 지어 사고 과정을 살펴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공무도하가백수 광부의 아내감상 포인트: '공무도하가'는 고조선의 노래로, 흰머리를 풀어 헤친 미친 사람(백수 광부)의 아내가 부른 애절한 노래입니다. 노래는 남편이 물을 건너다 죽은 후 남편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현대어 풀이 강을 건너지 마오, 강을 건너지 마오. 저 미친 사람이 강을 건너다가 죽었소. 강을 건너지 마오, 강을 건.. 2024. 5. 23.
고전 시조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조홍시가, 만분가, 말은 가자 울고, 임 이별하올 적에, 뒤뜰에 봄이 깊으니, 청전에 떠서울고가는) 시조 감상 포인트 정리말은 가자 울고~ (작자 미상)감상 포인트: 이 작품은 임과 이별하는 아쉬움을 드러낸 평시조로, 화자가 타고 있는 말을 붙잡는 임의 모습을 통해 이별 상황의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다. 화자는 자신이 아닌 지는 해를 붙잡으라고 말하며 이별의 슬픔을 강조한다.임 이별하올 적에~ (안민영)감상 포인트: 이 작품은 임과의 이별 상황에 대한 슬픔과 아쉬움을 드러낸 평시조이다. 화자는 다리를 저는 나귀를 통해 이별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귀의 느린 걸음으로 임의 얼굴을 자세히 볼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이별의 슬픔을 더욱 부각시킨다.뒤뜰에 봄이 깊으니~ (작자 미상)감상 포인트: 이 작품은 봄날의 아름다움을 배경으로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을 표현한 사설시조이다. 화자는 봄이 와.. 2024. 5. 22.
가사문학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복선화음가, 일동장유가, 견흥, 방불가) 복선화음가 (작자 미상)현대어 풀이대마구종춘득이요전갈하님영매로다:현대어 풀이: 큰 말을 끌고 가는 하인은 춘득이고, 소식을 전해주는 계집종은 영매이다. 이는 화자의 딸이 시집갈 때 넉넉한 재산과 여러 하인들과 함께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대한불갈:현대어 풀이: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음.신행:현대어 풀이: 혼인할 때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신랑 집으로 감.부동하여:현대어 풀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 유려한 동작을 하다.복선화음:현대어 풀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내림.포진천물:현대어 풀이: 물건을 함부로 쓰고도 아까운 줄 모름.효봉구고:현대어 풀이: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김.순승군자:현대어 풀이: 남편을 순순히 따름.지친화목:현대어 풀이: 가까운 가족끼리 화목하게 .. 2024. 5. 21.
민요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어사용, 베를 노래, 영립, 원생원, 청산리 벽계수야) 작품별 감상 포인트어사용 - 작가 미상감상 포인트고독과 신세한탄: 나무를 하며 느끼는 고독감과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나이가 들고 몸이 아픈데도 계속 힘든 노동을 해야 하는 상황을 한탄하며, 돌아가신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외침을 통해 부정적인 현실을 강조한다.노랫말과 곡조의 다양성: 이 노래는 부르는 사람에 따라 노랫말과 곡조가 다양하며, 대부분 깊은 산중에서 혼자 나무를 하면서 부른다.민요의 배경: 경상북도 울진 지방에서 전해지는 민요로, 남성들이 산에서 나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베를 노래 - 작가 미상감상 포인트강원도 통천 지방의 노동요: 부녀자들이 베틀에서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래로, '베틀가'라고도 불린다.과정의 노래: 뽕잎을 따서 실을 뽑고 옷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시간순.. 2024. 5. 21.
현대시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거짓 이별, 맹세, 접동새, 수철리) 거짓 이별 - 한용운감상 포인트부재하는 '당신'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임이 부재한 상황을 '거짓 이별'로 규정하여 임과의 재회 소망을 드러냄.객관적 상황 부정: '거짓 이별'이라는 표현으로 상황을 부정하며 재회의 가능성을 암시.경건한 분위기: 경어체 사용으로 경건한 분위기를 조성.영원한 사랑: 대비되는 색채 이미지를 통해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표현.당신이 떠나시던 날나는 당신을 보내지 않았습니다이별은 거짓입니다당신은 언제나 내 마음 속에꽃이 피고 있습니다 '님'의 의미절대적 존재: 화자가 반드시 함께해야 할 절대적 존재로 묘사.다양한 해석 가능: '님'은 '부처님', '불교의 진리', '조국', '어느 여인' 등으로 해석될 수 있음.재회의 가능성: 잠시 헤어지더라도 반드시 돌아올 존재로 묘사되어 초.. 2024. 5. 21.
현대시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싸늘한 이마, 월문, 그의반, 사랑법, 학, 저새) "싸늘한 이마" - 박용철작품 해설: 이 작품은 어둠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며 외로움을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새파란 불'과 '기어가는 신경의 간지러움'을 통해 외로움을 형상화하고, '산꽃', '귀또리', '벌'을 통해 외로움을 위로받으려 합니다. 시의 전개는 점차적으로 외로움이 심화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어둠 속에모두 빼앗기는 듯한 외로움새파란 불 붙어 있는 인광기어가는 신경의 간지러움싸늘한 이마산꽃까만 귀또리벌외로움에 우는 듯이 표현상의 특징:감각적 이미지:시각적 이미지: '새파란 불', '까만 귀또리'촉각적 이미지: '싸늘한 이마', '신경의 간지러움'연쇄법의 사용:외로움의 심화를 점층적으로 전개객관적 상관물과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은 작가의 정서나 사상을 표현하는 사물이.. 2024. 5. 21.
현대시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첨회록,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윤동주 - 「참회록」참회록 원문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이렇듯 욕될까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만 이십 사 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밤이면 밤마다 손바닥을 불빛에 비추어 보며손바닥을 꺼꾸로 흔들어 보며눈물 지은 나를 보라.분석자료주제: 자아 성찰과 참회.의미: 시인은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며 그동안의 삶이 부끄럽고 욕된 것임을 자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래의 어느 날에 다시 한번 참회할 수 있기를 바란다.상징: '녹이 낀 구리거울'은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는 자아 성찰을 의미하며, '참회록'은 자신에 .. 2024.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