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내용정리/사탐내용정리

윤리와사상 5단원(이황 / 이이 / 정약용 / 이항로 / 동학 / 최재우 / 최시형)

by 늦깎이 학생 2024. 6. 5.
반응형

이황 (1501~1570)

생애와 배경

  • 시대 배경: 조선 중기의 유학자,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로 활동했습니다. 당시 조선은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었고, 사림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시기였습니다.
  • 활동과 영향: 이황은 경상도 안동에서 태어나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그는 학문과 덕행으로 존경받았으며, 그의 사상은 후에 영남학파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주요 사상

  1. 성리학의 체계화
    • 의미: 이황은 주자학(朱子學)을 깊이 연구하고 이를 조선에 체계적으로 도입했습니다.
    • 내용: 그는 성리학의 이론을 철저히 탐구하고, 주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철학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그의 학문은 철저한 원리주의와 엄격한 도덕성을 강조했습니다.
  2. 이기론(理氣論)
    • 의미: 이황은 이(理)와 기(氣)의 관계를 중시하며, 이와 기의 조화로운 관계를 설명했습니다.
    • 내용: 그는 이(理)가 기(氣)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았으며, 이(理)는 순수한 도덕적 원리로, 기(氣)는 물질적이고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로 이해했습니다. 이황은 이(理)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 사례: 이황은 "사단(四端)은 이가 발(發)하고, 칠정(七情)은 기가 발(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도덕적 감정인 사단은 이에서 비롯되고, 인간의 감정인 칠정은 기에서 비롯된다는 의미입니다.
  3. 도학(道學)
    • 의미: 이황은 도학(道學)을 통해 성리학의 도덕적 가치를 실현하려 했습니다.
    • 내용: 그는 학문과 덕행을 통해 도를 깨닫고 실천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황은 도학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완성과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 사례: 이황은 "도심(道心)을 높이고 인욕(人欲)을 제거하라"고 가르쳤습니다. 이는 도덕적 마음을 중시하고, 인간의 욕심을 경계하라는 의미입니다.
  4. 사단칠정 논쟁
    • 의미: 이황은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관계를 깊이 탐구했습니다.
    • 내용: 그는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도덕적 감정과 인간의 감정을 구분하고, 각각의 발현 원리를 설명한 것입니다.
    • 사례: 이황은 "사단은 이가 발함에 기가 따르고,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탄다"고 수정하여, 이와 기의 상호작용을 강조했습니다.

윤리와사상, 윤리와 사상 학습지, 윤리와 사상 목차,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등급컷, 윤리와 사상 교과서, 윤리와 사상 추천도서, 윤리와 사상 2, 윤리와 사상 1, 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자이스토리 수능 윤리와사상, 자이스토리 윤리와사상, 고등 윤리와사상 10강 단기완성, 고등 윤리와사상 수능기출 전국연합 3년간 모의고사, 고등 고2 윤리와사상 전국연합 4개년 모의고사,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필기노트로 수능 다잡기, 윤리와 사상 사상가, 윤리와 사상 책, 윤리와 사상 세특,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기출문제, 윤리와 사상 수행평가, 고2 윤리와사상 기출문제, 윤리와 사상 교과서 목차, 윤리와사상 요점정리, 윤리와사상 중관학파 유식학파,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 2020 수능특강 윤리와 사상 pdf, 비상 윤리와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정리, 윤리와 사상 강라현, 윤리와 사상 관련 도서, 윤리와 사상 내신문제, 윤리와 사상 기출, 40 주제로 이해하는 윤리와 사상 개념 사전, 고등 윤리와 사상 고3 신수능기출 200제(2016 수능대비), 고등 윤리와 사상 고3 평가원 수능기출 240제(2016),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고득점 220제, 송기택의 윤리와 사상 개념사전, 고등 한보라의 윤리와 사상 개념 스케치, 2023년 수능대비, 윤리와 사상 단권화노트 (컬러본), 2023년 수능대비, 윤리와 사상 단권화노트 (흑백본), [컬러본] 윤리와 사상 단권화 노트, 고등 윤리와사상 리얼리티 봉투모의고사, 윤리와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미래엔,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봉투 모의고사, 수능 완벽창 고등 윤리와 사상 봉투 모의고사 5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마더텅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마더텅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고등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 수능실전 모의고사 5회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실전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고등 사탐 송기택의 윤리와 사상 신개념사전,

반응형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1회,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사과탐 전문 기출문제(2016),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13(2018 수능대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영양만점 모의고사 4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연도별 440제 수능기출문제집(2017 수능대비), 고등 고3 윤리와사상 전국연합 4개년 모의고사, 최양진의 윤리와 사상 주제로 정리하는 기출분석, 고등 윤리와 사상 자습서, 리얼리티 고2 윤리와 사상 전국연합 5개년 모의고사(2020), 리얼리티 고3 윤리와 사상 전국연합 5개년 모의고사(2020), 고등 윤리와 사상 최종점검 파이널 테스트 실전모의고사, EBS 강의노트 수능개념 윤리와 사상 최양진의 원샷 원킬, 윤리와 사상 텍스트와 함께 읽기 2, 고등 윤리와 사상 파이널 테스트 실전모의고사 5회분, 이상 모의고사 Season 1 오감도 윤리와 사상,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200제, 최양진의 윤리와 사상 3단계 실전개념,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300제(2016), 고등 윤리와 사상 300제(2015), 이상 모의고사 날개 윤리와 사상 4회분, HOLIC 모의고사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4회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451제(2018 수능대비), 이상 모의고사 오감도 윤리와 사상 5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534제, 2021 수능 완벽창 수능완벽대비 윤리와사상 5회분 (2020년), 내공의 힘 고등 윤리와 사상 534제 (2019년용), 이상 모의고사 오감도 윤리와 사상 5회분(2025), 완자 기출PICK(완자 기출픽) 고등 윤리와 사상 674제, 고등 윤리와 사상 710제,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780제, 1등급 만들기 윤리와 사상 780제 (2021년용),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800제 기출 분석 문제집,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800제 기출 분석 문제집(2024), 고등 윤리와 사상 Final 실전 적중 모의고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수능 윤리와 사상, 마더텅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윤리와 사상,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윤리와 사상, EBS 수능완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2023년), EBS 수능특강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자이스토리 고등 윤리와 사상, 2020 Xistory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3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2년), 2024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윤리와사상 (2023년), Xistory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1년)

이이 (1536~1584)

생애와 배경

  • 시대 배경: 이이는 조선 중기, 사림파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한 시기에 활동한 유학자입니다. 그는 서인(西人) 학파의 지도자로서, 성리학을 실천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 활동과 영향: 이이는 학문과 정치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그의 사상은 후에 기호학파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는 여러 저서를 통해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주요 사상

  1. 성리학의 실천적 발전
    • 의미: 이이는 성리학을 현실 문제에 적용하여 실천적 학문으로 발전시켰습니다.
    • 내용: 그는 성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 개혁과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이이는 학문과 정치가 분리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성리학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 사례: 이이는 농업 정책, 교육 제도, 군사 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성학집요(聖學輯要)"와 같은 저서를 통해 성리학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2. 이기론(理氣論)
    • 의미: 이이는 이와 기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명했습니다.
    • 내용: 그는 이(理)와 기(氣)가 상호작용하며 모든 현상을 설명한다고 보았습니다. 이이는 이와 기의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강조하며, 기가 발할 때 이가 탄다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했습니다.
    • 사례: 이이는 "기발이승(氣發理乘)"을 통해 기가 발함에 따라 이가 함께 작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모든 현상이 기의 발현과 이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경장론(更張論)
    • 의미: 이이는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 내용: 그는 조선 사회의 부패와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경장(更張), 즉 근본적인 개혁을 제안했습니다. 이이는 관료제도, 군사제도, 교육제도 등의 전반적인 개혁을 통해 사회를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 사례: 이이는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통해 국방력 강화를 주장했습니다. 이는 국가의 안보를 위해 십만 명의 군사를 양성해야 한다는 제안입니다.
  4. 사단칠정 논쟁
    • 의미: 이이는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설명했습니다.
    • 내용: 그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기에서 발한다고 보며, 도덕적 감정인 사단은 칠정 중에서 선한 감정만을 표출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사례: 이이는 "사단도 기가 발함에 이가 탄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사단과 칠정이 본래 같은 차원의 감정이며, 선악의 도덕성에 따른 평가만 다를 뿐이라는 의미입니다.

비교 정리

  • 이황: 성리학의 이론을 철저히 탐구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조선 사회에 도입했습니다. 그는 이기론에서 이의 우위를 강조하며, 도학을 통해 도덕적 완성을 추구했습니다.
  • 이이: 성리학을 실천적으로 발전시켜 현실 문제에 적용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이와 기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정약용 (1762~1836)

생애와 배경

  • 출생과 배경: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마현에서 태어났으며,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입니다. 그는 정치가, 철학자, 과학자, 문학가로서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 학문적 배경: 정약용은 16세 때 실학자 이익의 저서를 읽고 실학에 심취했으며, 박지원, 박제가 등과 교류하면서 실학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주요 사상

  1. 실학
    • 의미: 실학은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한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하는 사상입니다.
    • 내용: 정약용은 성리학의 비현실성을 비판하고,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학문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농업, 공업, 상업의 발전을 중시하고,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 사례: 정약용은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경세유표(經世遺表)'와 '목민심서(牧民心書)' 등을 저술했습니다. 이 책들은 농업 정책, 행정 개혁, 지방 관리의 역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2. 경세치용(經世致用)
    • 의미: 경세치용은 국가와 사회를 경영하고 다스리는 데 유용한 학문을 뜻합니다.
    • 내용: 정약용은 학문이 현실 정치와 행정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지방 행정의 부패와 비리를 개선하기 위해 실용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 사례: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지방 관리의 청렴과 백성을 위한 행정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지방 관리가 지켜야 할 도덕적 원칙과 구체적인 행정 지침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3. 성기호설(性嗜好說)
    • 의미: 성기호설은 인간의 본성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경향성으로 파악하는 이론입니다.
    • 내용: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이 선이나 악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경향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맹자의 성선설과 대비됩니다.
    • 사례: 정약용은 "성은 기호이다. 하늘은 사람에게 선을 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주었고, 악을 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주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선한 경향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4. 기술과 과학
    • 의미: 정약용은 서양의 과학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조선의 실정에 맞게 활용하려 했습니다.
    • 내용: 그는 서양의 천문학, 수학, 지리학 등을 연구하여 이를 조선의 과학 발전에 기여하도록 했습니다. 정약용은 새로운 과학 지식과 기술이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 사례: 정약용은 '기기도설(奇器圖說)'에서 다양한 기계와 도구의 설계도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이를 통해 조선의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습니다.
  5. 사회 개혁
    • 의미: 정약용은 사회의 전반적인 개혁을 통해 백성의 삶을 개선하고자 했습니다.
    • 내용: 그는 토지 제도의 개선, 노비 제도의 폐지, 농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사회 개혁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정약용은 사회의 부패와 불평등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사례: 정약용은 '흠흠신서(欽欽新書)'에서 형벌 제도의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공정하고 인도적인 형벌 제도를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주요 저서

  1. 목민심서(牧民心書)
    • 내용: 지방 관리의 역할과 도덕적 의무를 다룬 저서로, 청렴하고 공정한 행정을 강조합니다. 지방 관리가 지켜야 할 도덕적 원칙과 행정 지침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2. 경세유표(經世遺表)
    • 내용: 국가와 사회의 경영 방안을 다룬 저서로, 토지 제도, 농업 정책, 군사 제도 등의 개혁 방안을 제시합니다. 정약용의 현실적인 사회 개혁 방안이 담겨 있습니다.
  3. 흠흠신서(欽欽新書)
    • 내용: 형벌 제도의 개혁을 다룬 저서로, 공정하고 인도적인 형벌 제도를 주장합니다. 형벌의 합리적 적용과 사형의 신중한 집행을 강조합니다.
  4. 기기도설(奇器圖說)
    • 내용: 다양한 기계와 도구의 설계도를 제시한 저서로, 서양 과학 기술을 조선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실용적 활용을 강조합니다.

이항로 (1792~1868)

생애와 배경

  • 출생과 배경: 이항로는 1792년 경기도 양근에서 태어났으며,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자, 위정척사 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 활동과 영향: 그는 주자학의 철저한 신봉자로, 외세의 침입에 맞서 조선의 전통과 가치를 수호하려 노력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후에 척화비 운동과 국권 수호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요 사상

  1. 위정척사(衛正斥邪)
    • 의미: 위정척사는 바른 도를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는 의미로, 조선 후기 외세의 침략과 서학(천주교) 등 외래 사상에 대항하는 사상입니다.
    • 내용: 이항로는 외세의 침입을 막고, 조선의 전통적 유교 가치를 지키는 것을 중시했습니다. 그는 서양 세력과의 교류를 강하게 반대하며, 이를 통해 조선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 사례: 이항로는 "서양 오랑캐가 우리나라에 잠입하여 사설(邪說)을 전파함이 어찌 다른 목적이 있어서이겠는가? 자기와 같은 무리를 심어 안과 밖이 서로 응하여 우리의 허실을 정탐하고 군대를 이끌고 오려는 것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2. 존주사상(尊朱思想)
    • 의미: 존주사상은 주자학을 존중하고 따르는 사상입니다.
    • 내용: 이항로는 철저한 주자학의 신봉자로, 주자학 이외의 사상과 학문을 배척했습니다. 그는 주자학을 통해 조선의 도덕적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 사례: 이항로는 "주자의 말이 아니면 감히 듣지 않을 것이며, 주자의 뜻이 아니면 감히 따르지 말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3. 이존기비(理尊氣卑)
    • 의미: 이존기비는 이(理)를 존중하고 기(氣)를 천하게 여기는 사상입니다.
    • 내용: 이항로는 주자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를 우위에 두고, 기(氣)를 부차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이(理)를 통해 도덕적 원칙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 사례: 이항로는 이존기비의 입장에서 "의(義)를 실행하고, 멸륜(滅倫)의 화를 불러들이는 '이(利)'를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4. 반외세 사상
    • 의미: 이항로는 외세의 침입을 막고, 조선의 자주성과 독립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 내용: 그는 서양의 침입과 서학(천주교)의 전파를 강하게 반대하며, 이를 통해 조선의 전통과 가치를 지키고자 했습니다. 이항로는 외세와의 교류가 조선의 도덕적 질서를 파괴하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다고 보았습니다.
    • 사례: 이항로는 "양적(洋賊)을 격퇴하자는 것은 우리의 편이요, 양적과 화의하자는 것은 적의 편"이라고 주장하며, 서양 세력과의 교류를 반대했습니다.
  5. 척화비 운동
    • 의미: 척화비 운동은 서양 세력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세운 비석 운동입니다.
    • 내용: 이항로의 사상은 후에 척화비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척화비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고, 화친하면 나라가 망한다"라는 경고문이 새겨졌습니다.
    • 사례: 이항로의 제자인 최익현 등은 척화비 운동을 통해 서양 세력의 침입에 맞서 싸우고자 했습니다.

주요 저서

  1. 우서(憂緒)
    • 내용: 이항로의 정치적, 철학적 사상이 담긴 저서로, 주자학의 원리와 외세 배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 위정척사소(衛正斥邪疏)
    • 내용: 위정척사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상소문으로, 서양 세력과의 교류를 반대하고 조선의 전통과 가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동학(東學)

창시자: 최제우 (1824~1864)

생애와 배경

  • 출생과 배경: 최제우는 1824년 경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가난한 양반 집안 출신으로, 세상에 대한 불만과 개혁 의지를 품고 있었습니다.
  • 활동과 영향: 최제우는 1860년 동학을 창시하였으며, 당시 사회의 불평등과 부패에 맞서 민중의 의식을 일깨우고자 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농민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이후 동학농민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주요 사상

  1. 시천주(侍天主)
    • 의미: ‘시천주’는 하늘님을 모신다는 의미로, 모든 사람은 하늘님을 자기 안에 모시고 있다는 사상입니다.
    • 내용: 최제우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사람마다 하늘님의 신성이 깃들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한 것입니다.
    • 사례: 최제우는 "사람이 곧 하늘이다(人卽天)"라고 주장하며, 모든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고 존중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2. 유무상자(有無相資)
    • 의미: ‘유무상자’는 있는 자와 없는 자가 서로 돕는다는 의미로, 상호부조와 평등을 강조한 사상입니다.
    • 내용: 최제우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 지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서로 돕고 아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공동체적 삶을 강조한 것입니다.
    • 사례: 최제우는 두 명의 여자종을 해방하여 한 명은 며느리로, 다른 한 명은 수양딸로 삼음으로써 평등사상을 실천했습니다.
  3. 후천개벽(後天開闢)
    • 의미: ‘후천개벽’은 새로운 이상적인 세상이 열린다는 사상입니다.
    • 내용: 최제우는 갑자년을 시작으로 낡은 선천(先天) 시대가 끝나고, 이상적인 후천(後天) 시대가 열린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새로운 세상을 향한 희망과 변화를 강조한 것입니다.
    • 사례: 최제우는 "후천 오만년이 새로 열린다"고 선언하며, 새로운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

주요 저서

  1. 동경대전(東經大全)
    • 내용: 최제우의 교리와 사상을 담은 경전으로, 시천주와 유무상자, 후천개벽 등의 사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용담유사(龍潭遺詞)
    • 내용: 동학의 교리를 노래 형식으로 표현한 경전으로, 민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암송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동학의 계승자: 최시형 (1827~1898)

생애와 배경

  • 출생과 배경: 최시형은 1827년 경주에서 태어났으며, 동학의 2대 교주로 활동했습니다.
  • 활동과 영향: 최시형은 최제우의 뒤를 이어 동학을 체계화하고, 교리를 널리 전파했습니다. 그는 동학농민운동의 정신적 지주로서 큰 역할을 했습니다.

주요 사상

  1. 시천주 사상의 실천
    • 내용: 최시형은 시천주 사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며, 모든 사람을 하늘님으로 대우했습니다. 그는 어린아이들과 여성, 노비들도 모두 하늘님으로 대접할 것을 역설했습니다.
    • 사례: 최시형은 "사람이 곧 하늘이니 사람 섬기기를 하늘 섬기듯 하라"고 가르쳤습니다.
  2. 삼경(三敬) 사상
    • 의미: 삼경은 하늘, 사람, 만물을 공경하라는 사상입니다.
    • 내용: 최시형은 사람뿐만 아니라 자연과 만물을 공경하고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생태적 평등과 자연 존중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사례: 최시형은 "사람뿐만 아니라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벌레 한 마리 모두 하늘님 아님이 없으니(天地萬物, 莫非侍天主)"라고 가르쳤습니다.
  3. 평등사상과 민중 구제
    • 내용: 최시형은 평등사상을 강조하며, 모든 사람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민중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사례: 최시형은 "사람은 한울이라 평등이요 차별이 없나니, 사람이 인위로 귀천을 분별함은 곧 하늘의 뜻을 어기는 것이니"라고 가르치며, 모든 차별을 철폐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주요 저서

  1. 교리집
    • 내용: 최시형은 동학의 교리를 체계화하여 교리집을 편찬했습니다. 이는 동학의 이념과 교리를 명확히 하고, 신도들에게 교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윤리와사상 5단원(이황 / 이이 / 정약용 / 이항로 / 동학 / 최재우 / 최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