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 영어 풀이/2025학년도(2024년 시행)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36번 풀이/해석/해설/설명

by 늦깎이 학생 2024. 12. 4.
반응형
반응형

1. 문제의 기본 맥락

문단 도입부:

The potential for market enforcement is greater when
contracting parties have developed reputational capital that
can be devalued when contracts are violated.

즉, “계약 당사자들이 위반 시 가치가 떨어질 ‘평판 자본(reputational capital)’을 이미 갖고 있으면, 시장을 통한 계약 이행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다음 나오는 문장들 (A), (B), (C)는 이 ‘평판(reputation)’이 실제 농부(farmers)와 지주(landowners) 간 거래(토지 임대 등)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시가 됩니다.


2. (C) "평판이 어떻게 형성되고, 왜 중요한가"

(C) 전문

Farmers and landowners develop reputations for honesty, fairness, producing high yields, and consistently demonstrating that they are good at what they do. In small, close-knit farming communities, reputations are well known.

  1. 핵심 내용
    • 농부와 지주는 서로 “정직, 공정, 높은 생산량, 꾸준한 능력” 같은 면에서 평판을 쌓는다.
    • 마을이 작고 서로 잘 아는 구조라면, 이 평판은 금방 알려진다.
  2. 왜 (C)가 먼저?
    • 문단 도입(“평판 자본이 중요”)에 이어, 구체적으로 “농부와 지주는 어떻게 평판을 가지며, 왜 중요한가”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첫 단계가 됩니다.
    • 한마디로, (C)는 “평판이라는 개념” 자체를 농촌 환경에 적용하여 전반적으로 깔아 주는 도입 문단 역할을 합니다.

3. (B) "평판이 실제로 어떻게 관찰·유지되는가"

(B) 전문

Over time landowners indirectly monitor farmers by observing the reported output, the general quality of the soil, and any unusual or extreme behavior. Farmer and landowner reputations act as a bond. In any growing season a farmer can reduce effort, overuse soil, or underreport the crop.

  1. 핵심 내용
    • ‘지주 → 농부’ 모니터링: 수확량, 토양 상태, 특이 행동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
    • “농부와 지주의 평판이 일종의 ‘담보(bond)’ 역할”
    • 농부의 잠재적 위반 행동 예시: “노동을 덜 한다, 토양을 과다 사용한다, 실제 생산량보다 적게 보고한다…”
  2. 왜 (C) 다음에 (B)?
    • (C)가 “이들이 평판을 통해 서로 평가받는다는 사실”을 전반적으로 설명했다면,
    • (B)에서는 “그 평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유지되는지(= 실제로 어떤 식으로 서로를 감시하고 문제행동을 알아내는지)”를 보여 준다.
    • 특히 (B) 끝에서 “농부가 이런 식으로 ‘속일 수 있다’”라는 부정행위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다음 (A)에 나올 “지주도 속일 수 있다”와 대응하도록 연결점을 열어 둡니다.

4. (A) "지주 측에서의 부정행위 + 평판의 실제 제재"

(A) 전문

Similarly, a landowner can undermaintain fences, ditches, and irrigation systems. Accurate assessments of farmer and landowner behavior will be made over time, and those farmers and landowners who attempt to gain at each other’s expense will find that others may refuse to deal with them in the future.

  1. 핵심 내용
    • (B)에서 농부의 부정행위 가능성을 말했는데, (A)는 “지주도 비슷하게” 울타리나 관개 시설을 방치·미비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
    • 부정행위가 누적되면 “다른 사람들이 거래를 거부하게 될 것” → 이것이 곧 “평판 훼손에 따른 시장 제재(market enforcement)”로 이어진다.
  2. 왜 (B) 다음에 (A)?
    • (B)가 “농부가 얼마나 속일 수 있는지” 설명했다면, (A)는 “지주도 속일 수 있으며, 둘 다 결국 평판 손상을 겪는다”로 이어집니다.
    • 문장 시작의 “Similarly(비슷하게)”가 (B)의 농부 사례와 대칭을 이룬다는 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 이어서 “서로에게 해를 끼치려 하면(try to gain at each other’s expense), 미래에 거래가 단절될 것”이라는 내용은 문단 도입부(“평판이 망가져서 계약 기회가 축소됨”)를 다시 확인하며 결말을 맺습니다.

5. 최종 정리: (C) → (B) → (A)

  1. (C): 농부/지주가 쌓는 ‘평판’이라는 개념을 전반적으로 소개(“정직, 공정, 능력…”).
  2. (B): 그 평판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감시하는지, 특히 농부들이 할 수 있는 부정행위(노동 태만, 산출량 조작 등) 사례.
  3. (A): 지주도 마찬가지로 시설 관리 태만 같은 부정행위를 할 수 있으며, 결국 부정행위가 드러나면 “미래에 거래 거부 → 시장 제재”가 일어난다는 결말.

이렇게 배열하면, 각 문단이 평판(도입) → 구체적 감시·행동 → 양측 부정행위 + 제재라는 점진적 흐름으로 전개되어, 문맥상 가장 조리 있고 매끄럽게 이어집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36번 풀이/해석/해설/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