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유교 윤리사상의 흐름
춘추 전국 시대
공자
- 사회혼란의 원인: 공자는 인간의 도덕적 타락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에 빠진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이 도덕적 자각과 자기 수양을 통해 예(禮)를 실천함으로써 인(仁)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예(禮): 예는 외면적인 사회 규범으로, 인의 외면적 표현입니다. 예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인(仁)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 인과 예의 관계: 인은 인간의 내면적인 덕성으로, 예를 통해 외적으로 표현됩니다. 예는 인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이며, 예의 바탕은 인입니다.
- 정명(正名) 사상: 정명은 각 개인이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맞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혼란을 방지하고,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 덕치(德治): 공자는 도덕과 예의를 통해 사람들을 교화하는 정치를 이상으로 삼았습니다. 이는 통치자가 먼저 도덕적으로 자신을 수양하고(수기修己), 이를 통해 백성을 안정시키는(안인安人) 것을 의미합니다.
- 대동(大同) 사회: 공자가 꿈꾼 이상 사회로, 재화가 고르게 분배되어 모든 사람이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의미합니다.
맹자
-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인간은 양지(良知, 타고난 지혜)와 양능(良能, 타고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사단(四端)은 인간이 선한 본성을 나타내는 네 가지 마음으로,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합니다. 이들은 사덕(四德)인 인(仁), 의(義), 예(禮), 지(智)로 발전합니다.
- 인의(仁義): 맹자는 사랑의 마음(仁)과 옳고 그름을 분명히 구분하는 사회적 정의(義)를 강조했습니다. 이는 전국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졌습니다.
- 정치사상: 맹자는 왕도(王道) 정치를 주장하며, 민본주의적 혁명 사상(역성혁명론)을 펼쳤습니다. 왕도 정치는 덕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정치이며, 민본주의는 민중이 정치의 근본임을 강조합니다. 역성혁명론은 폭군을 교체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이론입니다.
순자
- 성악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의 악한 본성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사회 혼란의 극복 방안: 순자는 인간의 악한 본성을 예(禮)를 통해 선하게 변화시켜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화성기위(化性起僞)라고 합니다.
- 예치(禮治): 인간의 악한 본성을 예를 통해 선하게 교화시키는 정치입니다. 예를 통해 인간을 도덕적으로 바로잡고, 사회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진
- 부국강병책 중시: 진나라는 부국강병을 중시하며,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강력한 통치를 펼쳤습니다. 이는 분서갱유와 같은 유학 탄압 정책으로 이어졌으며, 유학이 침체되었습니다.
한
- 경학과 훈고학의 발달: 한무제 때 유학이 부활하면서, 분서갱유 당시 소실된 경전을 복원하고자 하는 경학(經學)과 복원된 경서에 주석을 다는 훈고학(訓詁學)이 발달했습니다.
수·당
- 유교의 국교화: 수나라와 당나라 시기에 유교가 국교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와 함께 불교와 도교도 발달했습니다.
송
주희의 성리학(주자학)
- 성리학 정립: 주희는 맹자의 성선설과 여러 도학자들의 성즉리설을 집대성하여 성리학을 정립했습니다.
- 본성론: 주희는 인간의 본성을 이기론(理氣論)에 근거하여 형이상학적 체계로 설명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본성을 이(理)와 기(氣)의 결합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 수양론: 주희는 성인이나 군자가 되기 위한 도덕적 수양과 실천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격물치지(格物致知), 거경궁리(居敬窮理), 존양성찰(存養省察),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 등을 포함합니다.
명
왕수인의 양명학
- 심즉리설: 왕수인은 주희의 성즉리설과 격물치지설을 비판하고,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마음이 곧 이치라는 이론으로, 양명학을 수립했습니다.
- 사상 체계: 심즉리설, 치양지설(致良知說),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치양지설은 선한 지식을 성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행합일설은 앎과 행함이 하나임을 주장합니다.
청
고증학
- 실사구시: 고증학은 성리학과 양명학이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 발전: 고증학은 실학으로 계승되었으며,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 경향을 전개했습니다.
기타
- 고자: 성무선악설을 주장하여, 인간의 본성은 선악이 없으며, 선악은 후천적인 노력과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겸애설(兼愛說)을 통해 남을 자신처럼 사랑하고 이로움을 나누어 천하의 혼란을 종식시킬 것을 주장했습니다.
- 한비자: 순자의 성악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을 오로지 법과 술로써 조종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리와사상, 윤리와 사상 학습지, 윤리와 사상 목차,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등급컷, 윤리와 사상 교과서, 윤리와 사상 추천도서, 윤리와 사상 2, 윤리와 사상 1, 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자이스토리 수능 윤리와사상, 자이스토리 윤리와사상, 고등 윤리와사상 10강 단기완성, 고등 윤리와사상 수능기출 전국연합 3년간 모의고사, 고등 고2 윤리와사상 전국연합 4개년 모의고사,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필기노트로 수능 다잡기, 윤리와 사상 사상가, 윤리와 사상 책, 윤리와 사상 세특,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윤리와 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기출문제, 윤리와 사상 수행평가, 고2 윤리와사상 기출문제, 윤리와 사상 교과서 목차, 윤리와사상 요점정리, 윤리와사상 중관학파 유식학파,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 2020 수능특강 윤리와 사상 pdf, 비상 윤리와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정리, 윤리와 사상 강라현, 윤리와 사상 관련 도서, 윤리와 사상 내신문제, 윤리와 사상 기출, 40 주제로 이해하는 윤리와 사상 개념 사전, 고등 윤리와 사상 고3 신수능기출 200제(2016 수능대비), 고등 윤리와 사상 고3 평가원 수능기출 240제(2016),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고득점 220제, 송기택의 윤리와 사상 개념사전, 고등 한보라의 윤리와 사상 개념 스케치, 2023년 수능대비, 윤리와 사상 단권화노트 (컬러본), 2023년 수능대비, 윤리와 사상 단권화노트 (흑백본), [컬러본] 윤리와 사상 단권화 노트, 고등 윤리와사상 리얼리티 봉투모의고사, 윤리와사상 문제, 윤리와 사상 미래엔,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봉투 모의고사, 수능 완벽창 고등 윤리와 사상 봉투 모의고사 5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마더텅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마더텅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고등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 수능실전 모의고사 5회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실전 모의고사,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한국 유교·도교 윤리 및 근대 윤리사상의 흐름
삼국 시대
- 최치원: '난랑비 서문'에서 유교, 불교, 도교 삼교를 포함하는 고유 사상인 풍류도를 제시했습니다.
고려 시대
- 성리학: 고려 말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을 들여왔습니다.
조선 중기 (16세기)의 성리학
- 성리학의 발달: 조선 중기 성리학은 주희의 학문을 계승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조선시대 도교와 실학사상
한국의 도교 사상
- 신선사상, 불로장생설: 무병과 장수를 바라는 백성들이 관심을 가졌습니다.
- 권선징악: 도교는 백성들의 삶 속에서 권선징악과 안심입명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학사상
- 배경: 전란 이후 사회 전반에 걸친 혼란이 심화되었고, 기존의 학문적 풍토에 대한 반성이 일어났습니다.
- 의의: 실증적 연구 자세로 우리의 역사, 지리, 문헌 등을 재해석하여 자주 정신을 고취했습니다.
- 주요 경향: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정약용
- 현실적 존재: 정약용은 인간을 현실적이고 혈기적인 존재로 파악했습니다.
- 성기호설: 인간의 성(性)을 마음의 기호(嗜好)로 이해했습니다.
한국 근대 윤리사상
강화학파
- 양명학 기반: 강화학파는 양명학을 기반으로 능동적이고 참된 자아를 각성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위정척사 사상
- 서양 문물 이단 규정: 서양의 종교와 문물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척양·척왜의 강력한 의리론을 주장했습니다.
- 의의: 유교적 가치관과 민족정신으로 외세를 극복하여 민족주체성과 민족의식을 표출했습니다.
개화사상
- 근대화된 서양 문물 수용: 개화사상은 서양 문물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자는 입장이었으며, 전통 질서를 부정하는 입장과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의 입장으로 나뉘었습니다.
동학사상
- 인본주의 기반: 동학사상은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사해 평등주의를 표방했습니다.
- 사상: 시천주(侍天主), 인내천(人乃天),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사인여천(事人如天)을 주창했습니다.
불교의 흐름
불교 윤리
초기 불교의 핵심사상
- 인연 사상: 모든 현상은 무수한 원인[因]과 조건[緣]에 의해 발생한다는 연기법을 강조합니다.
- 사성제: 석가모니가 깨달은 네 가지 진리인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를 의미합니다.
- 삼법인: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설인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강조합니다.
불교 사상의 전개
-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발전: 초기 불교에서 발전한 소승불교와 이후 출현한 대승불교가 있습니다.
대승 불교 사상
- 반야경: 대승불교의 중심 경전인 반야경이 출현하면서 공(空) 사상과 중도(中道) 사상이 강조되었습니다.
- 공 사상: 자아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탈피하여 무아(無我)의 인식을 강조합니다.
- 중도 사상: 우주의 본질과 현실의 양면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중도(中道)의 태도를 유지합니다.
- 보살: 대승 불교에서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로운 마음을 지닌 사람입니다.
중국 불교의 전개
- 전개: 6, 7세기경 인도의 대승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어 교종과 선종으로 변화·발전했습니다.
- 특징: 노장사상의 개념을 받아들여 불교를 이해하고, 인과응보의 윤회 사상이 정착했습니다.
- 영향: 사상적·문화적으로 중국 문화의 다변화에 이바지했습니다.
한국 불교 윤리
원효
- 화쟁 원리: 원효는 화쟁의 원리를 주장하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습니다.
의천과 지눌
- 교종과 선종의 조화: 의천과 지눌은 교종과 선종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는 왕권 강화와 민심 안정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고등 사탐 송기택의 윤리와 사상 신개념사전,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 모의고사 31회,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사상 사과탐 전문 기출문제(2016), 고등 윤리와 사상 수능기출문제집 13(2018 수능대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영양만점 모의고사 4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연도별 440제 수능기출문제집(2017 수능대비), 고등 고3 윤리와사상 전국연합 4개년 모의고사, 최양진의 윤리와 사상 주제로 정리하는 기출분석, 고등 윤리와 사상 자습서, 리얼리티 고2 윤리와 사상 전국연합 5개년 모의고사(2020), 리얼리티 고3 윤리와 사상 전국연합 5개년 모의고사(2020), 고등 윤리와 사상 최종점검 파이널 테스트 실전모의고사, EBS 강의노트 수능개념 윤리와 사상 최양진의 원샷 원킬, 윤리와 사상 텍스트와 함께 읽기 2, 고등 윤리와 사상 파이널 테스트 실전모의고사 5회분, 이상 모의고사 Season 1 오감도 윤리와 사상,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200제, 최양진의 윤리와 사상 3단계 실전개념,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300제(2016), 고등 윤리와 사상 300제(2015), 이상 모의고사 날개 윤리와 사상 4회분, HOLIC 모의고사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4회분,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451제(2018 수능대비), 이상 모의고사 오감도 윤리와 사상 5회분, 고등 윤리와 사상 534제, 2021 수능 완벽창 수능완벽대비 윤리와사상 5회분 (2020년), 내공의 힘 고등 윤리와 사상 534제 (2019년용), 이상 모의고사 오감도 윤리와 사상 5회분(2025), 완자 기출PICK(완자 기출픽) 고등 윤리와 사상 674제, 고등 윤리와 사상 710제,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780제, 1등급 만들기 윤리와 사상 780제 (2021년용),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800제 기출 분석 문제집, 1등급 만들기 고등 윤리와 사상 800제 기출 분석 문제집(2024), 고등 윤리와 사상 Final 실전 적중 모의고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수능 윤리와 사상, 마더텅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윤리와 사상,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윤리와 사상, EBS 수능완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2023년), EBS 수능특강 고등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자이스토리 고등 윤리와 사상, 2020 Xistory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3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2년), 2024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윤리와사상 (2023년), Xistory 자이스토리 윤리와 사상 (2021년)
도가·도교 윤리 사상의 흐름
춘추 전국 시대
도가 사상의 연원
- 목표: 도가 사상은 무위(無爲)로서의 본래 상태인 자연의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특징: 인위적인 노력의 비판과 부정,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여 절대자유의 경지를 추구합니다.
노자
- 사회 혼란의 원인: 노자는 인간의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인위적인 사회 제도가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 도(道): 도는 우주 만물의 근원으로, 참된 자연의 원리이자 형이상학적 진리입니다.
- 덕(德): 덕은 도를 따르는 것이며, 도는 곧 자연입니다. 상덕(上德)은 자연과 합치되는 무위와 무욕(無慾)의 태도를 의미하며, 하덕(下德)은 목표를 달성하려는 인위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 가치 상대주의: 노자는 유가의 예악(禮樂)이 모든 사람에게 선한 가치가 아닐 수도 있다고 보았습니다.
- 이상적인 삶: 노자는 물이 갖추고 있는 덕과 겸허(謙虛)와 부쟁(不爭)의 덕을 강조했습니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은 인위적으로 하지 않고 자연의 본성을 따르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으뜸이 되는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무위자연을 상징합니다.
- 정치사상: 노자는 통치자가 백성의 삶에 개입하지 않는 무위정치의 이상 사회를 추구했습니다. 소국과민(小國寡民)은 '작은 나라에 적은 백성'을 의미하며, 백성들의 평화로운 삶을 중시합니다. 무위(無爲)의 정치는 강압과 인위가 사라져 통치자가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정치 상태를 말합니다.
장자
- 사회 혼란의 원인: 장자는 시비선악의 분별과 차별, 자기만 옳고 남은 그르다는 이기적인 편견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 도(道): 도는 만물에 존재하는 원리로, 덕의 근본입니다. 이는 차별이 없고, 모든 사물에 내재합니다.
- 이상적인 삶: 장자는 공을 내세우지 않고, 무엇을 하려고 꾀하지 않고, 일이 잘 되어도 자만하지 않는 삶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만물의 평등성을 주장하며, 도의 차원에서 만물은 모두 평등하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만물제동(萬物齊同)이라 합니다.
- 수양 방법: 장자는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통해 소요유(逍遙遊)와 제물(祭物)의 경지에 이르기를 권장했습니다. 심재는 마음을 비워서 깨끗이 하는 것이며, 좌망은 조용히 앉아서 자신을 구속하는 일체의 것을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 이상적 인간상: 장자는 지인(至人), 진인(眞人), 신인(神人), 천인(天人)을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으로 보았습니다. 이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에 이른 인간상을 의미합니다.
한
도교 사상의 연원
- 성립: 도가 사상에 민간 신앙적 요소가 결합되어 장생을 추구하는 종교적 색채가 강한 도교가 성립되었습니다.
- 목표: 도교는 육체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수련을 통해 불로불사의 선인(仙人)이 되고자 합니다.
황로학파(黃老學派)
- 신선 사상과 노장사상의 체계화: 황로학파는 신선 사상과 노장사상을 체계화하였습니다.
- 타 학파의 수용: 유가, 법가, 묵가 등의 학파가 지닌 일부 관점을 수용하여 노자의 무위사상을 개조하고 보충하였습니다.
- 이상 사회 추구: 청정무위(淸淨無爲)를 바탕으로 한 이상 사회를 추구했습니다.
태평도(太平道)
- 권력층 비판: 태평도는 수탈을 일삼는 권력층을 비판하며 궁핍한 백성의 마음을 움직였습니다.
- 복을 추구: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기도를 통해 복을 추구하고, 부적과 맑은 물로 병을 치료한다고 선전했습니다.
오두미교(五斗米敎)
- 종교로 발전: 오두미교는 사회적 혼란기에 탐관오리를 비판하며 교단의 형태를 갖춘 종교로 발전했습니다.
- 신선사상과 노자 신격화: 신선사상과 노자에 대한 신격화를 바탕으로 삼는 종교였습니다.
- 태평도와의 관계: 태평도와 함께 도가 사상을 바탕으로 "태평경"을 신봉했습니다.
위·진 시대
현학(玄學)
- 노장 사상의 숭상: 현학은 노장 사상을 숭상하고 경학(經學)에 반대하는 사상적 경향이 있었습니다.
- 청담(淸談)과 죽림칠현(竹林七賢): 현학자들은 세속적 가치를 넘어서는 철학적·예술적 사유와 가치를 중시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