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지주의 학습이론 - 인간은 감각을 통하여 받아들인 외부자극의 뜻을 파악하는 인지(사고과정)능력을 가지고 있다.
1. 정보처리모형 이론 [자극 - 감각기억 - (①주의, 지각) - ②작업기억(단기기억) - (③부호화, 인출) - ④장기기억]
① 감각기억에서 작업기억으로 - ⑴ 주의(학습의 시작점, 선택적 주의), ⑵ 지각(사물이나 사건을 해석하는 방법)
+ 모든 사람의 주의는 용량과 지속성에 한계가 있으며, 한 자극에서 다른 자극으로 쉽게 옮겨진다.
+ 주의를 끌기 위한 전략 - 모순되는 사건 제시, 문제 제시, 사고촉진 질문, 강조, 학생 이름 부르기
+ 학습자가 구성한 지식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지각도 사전지식에 의존한다.
+ 인간은 지각한대로 저장한다. 따라서 만약 지각이 정확하지 않다면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정보 또한 정확하지 않다.
② 작업기억(단기기억) -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기존의 지식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를 의식적으로 결정
⑴ 일시저장(20초) + 한정적 정보 유지 (7+_2개 청킹)
⑵ 중앙집행기(정보처리전략 선택, 장기기억으로 옮김), 음운 고리(언어적 정보), 시공간 스케치판(시각적 정보)
⑶ 인지적 (과)부하(병목현상) 극복 방안
⒜ 청킹 - 정보의 별개 항목을 보다 크고 의미 있는 단위로 묶기 - 여러 가지 작업을 하나로 처리
⒝ 자동화 - 자각이나 의식적인 노력 없이 정신적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기억의 용량을 차지하지 않음
⒞ 분산 처리 - 시공간과 음운이 상호 독립적이므로, 언어처리와 시각정보처리을 독립적으로 시행하고 보조 및 결합
⑷ 정보 보존 방법(자주 시연하면 장기기억에 저장) - 유지시연(기계적 학습), 정교화시연(장기기억과 연관 지어 암기)
③ 유의미한 부호화 - 장기기억에 정보를 표상하는 과정, 정보는 시각적으로, 언어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⑴ 정교화 - 새로운 정보의 유의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목적) 기존의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는 부호화 전략
+ 정교화의 전략 : ⒜ 새로운 정보의 구체적 특성을 분석하거나 추론하고, ⒝ 새로운 정보와 기존의 정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보를 이해, ⒞ 예시(사례)와 유추를 이용한 이해(예시와 유추를 생각하는 것은 도식(사전지식)을 활성화하고 자신의 이해를 정교화), ⒟ 정교화 시연(장기기억과 연관 지어 암기), ⒠ 기억술(없던 연합을 억지로 생성)
⑵ 조직화 - 서로 다른 정보를 분류하고 관련 있는 내용을 공통 범주로 묶는 부호화 전략 - 다른 정보들 간의 관계(요소 사이의 관계)를 서술하기 때문에 인지적 부화가 줄어들고 부호화(및 인출)도 잘 일어난다.
⑶ 심상화 - 정보의 추상적인 관계[ex) 언어적 정보]를 시각화하여 부호화를 촉진 - 이중부호화 이론에서는 장기기억이 심상정보와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두 가지의 다른 기억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작업기억의 분산처리와 함께 이용)
⑷ 도식 활성화 - 새로운 지식이 기존 지식과 연결될 수 있도록(목적) 적절한 사전지식을 활성화시키는 부호화 전략
④ 장기기억에서 지식의 인출(부호화의 반대)을 촉진하는 요인 - 경로의 다양화(부호화) 및 속도의 증가(자동화)
⑴ 유의미학습(부호화) -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과 연관시켜 새로운 정보를 정착시킬 장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인출의 경로를 다양화한다. + 인지적 부하를 줄여 작업기억의 용량 확보에도 효과적이다.
(부호화 특수성 - 인출과 부호화 맥락이 일치할 때 인출이 잘 됨/ 설단현상 - 부호화가 잘 안되어 인출이 잘 안 됨)
⑵ 완전학습 - 자동화가 되어 인출의 속도가 빨라지고, 의식적 노력을 줄여 작업기억 용량 확보에 효과적이다.
⑶ 반복학습 - 도식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지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사전지식을 활성화한다.
⑷ 기억술 - 한 가지 정보가 기존 정보와 더 많이 연합될수록 기존의 정보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진다.
⑤ 장기기억 속 지식
⑴ 선언적 지식(사실, 개념, 규칙을 아는 것) - 명제/심상/도식형태(유의미하게 조직화된 인지구조, 심상과 명제 조합)
+ 선택적 주의와 지각 그리고 정보의 표상과 회상(사전지식이 풍부하면 잘 이해, 파지, 인출)에 영향
+ 선언적 지식은 개념, 원리, 관계에 대한 기억인 의미기억과 개인적(정서적) 경험에 대한 기억인 일화기억으로 나뉨
⑵ 절차적 지식(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암묵적 지식, 실제 행동) -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습득하며 ‘산출 = 조건-행위 규칙‘(만약 ~한다면 ~한다)으로 저장된다. - ex)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능력(실제 행동)
⑶ 조건적 지식(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언제, 어디서, 왜 활용할 것인가 - 학습, 기억, 사고를 조절) -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연결된 명제 망으로 저장된다. - ex) 자전거를 타다가 장애물을 만날 때 핸들을 왼쪽으로 돌림
2. 망각 - 장기기억으로부터 정보를 소실하거나 인출할 수 없는 것
① 간섭설 - 순행제지(이전의 요소가 영향을 줌), 역행제지(이후의 요소가 영향을 줌), 계열위치효과(순행+역행- 중간내용을 기억하지 못함) - 밀접한 개념을 함께 가르치거나, 복습을 통해 주제 간 관계를 강조 - 유의미한 부호화
② ⑴ 부호화 특수성(인출은 정보가 부호화된 맥락과 방식에 의존한다), ⑵ 유의미성(장기기억 속에 있는 지식들이 더 자세하고 밀접하게 연결되어 경로가 다양해짐으로써 인출이 용이해진다), ⑶ 자동화를 통해 인출을 쉽게 할 수 있다.
③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 학습 직후 가장 많이 망각되며, 유의미화 과정을 거친 것이 가장 오래 기억
'이모저모 > 마소두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개론(9) - 교육심리 6편 (0) | 2022.05.02 |
---|---|
교육학개론(8) - 교육심리 5편 (3) | 2022.05.02 |
교육학개론(6) - 교육심리 3편 (0) | 2022.05.02 |
주식 용어 공부 (0) | 2022.05.02 |
교육학개론(5) - 교육심리 2편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