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마소두래기

교육학개론(7) - 교육심리 4편

by 늦깎이 학생 2022. 5. 2.
반응형

* 인지주의 학습이론 - 인간은 감각을 통하여 받아들인 외부자극의 뜻을 파악하는 인지(사고과정)능력을 가지고 있다.

 

1. 정보처리모형 이론 [자극 - 감각기억 - (주의, 지각) - 작업기억(단기기억) - (부호화, 인출) - 장기기억]

감각기억에서 작업기억으로 - 주의(학습의 시작점, 선택적 주의), 지각(사물이나 사건을 해석하는 방법)

+ 모든 사람의 주의는 용량과 지속성에 한계가 있으며, 한 자극에서 다른 자극으로 쉽게 옮겨진다.

+ 주의를 끌기 위한 전략 - 모순되는 사건 제시, 문제 제시, 사고촉진 질문, 강조, 학생 이름 부르기

+ 학습자가 구성한 지식은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지각도 사전지식에 의존한다.

+ 인간은 지각한대로 저장한다. 따라서 만약 지각이 정확하지 않다면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정보 또한 정확하지 않다.

 

작업기억(단기기억) - 환경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기존의 지식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를 의식적으로 결정

일시저장(20) + 한정적 정보 유지 (7+_2개 청킹)

중앙집행기(정보처리전략 선택, 장기기억으로 옮김), 음운 고리(언어적 정보), 시공간 스케치판(시각적 정보)

인지적 ()부하(병목현상) 극복 방안

청킹 - 정보의 별개 항목을 보다 크고 의미 있는 단위로 묶기 - 여러 가지 작업을 하나로 처리

자동화 - 자각이나 의식적인 노력 없이 정신적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기억의 용량을 차지하지 않음

분산 처리 - 시공간과 음운이 상호 독립적이므로, 언어처리와 시각정보처리을 독립적으로 시행하고 보조 및 결합

정보 보존 방법(자주 시연하면 장기기억에 저장) - 유지시연(기계적 학습), 정교화시연(장기기억과 연관 지어 암기)

 

유의미한 부호화 - 장기기억에 정보를 표상하는 과정, 정보는 시각적으로, 언어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정교화 - 새로운 정보의 유의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목적) 기존의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연결하는 부호화 전략

+ 정교화의 전략 : 새로운 정보의 구체적 특성을 분석하거나 추론하고, 새로운 정보와 기존의 정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보를 이해, 예시(사례)와 유추를 이용한 이해(예시와 유추를 생각하는 것은 도식(사전지식)을 활성화하고 자신의 이해를 정교화), 정교화 시연(장기기억과 연관 지어 암기), 기억술(없던 연합을 억지로 생성)

조직화 - 서로 다른 정보를 분류하고 관련 있는 내용을 공통 범주로 묶는 부호화 전략 - 다른 정보들 간의 관계(요소 사이의 관계)를 서술하기 때문에 인지적 부화가 줄어들고 부호화(및 인출)도 잘 일어난다.

심상화 - 정보의 추상적인 관계[ex) 언어적 정보]를 시각화하여 부호화를 촉진 - 이중부호화 이론에서는 장기기억이 심상정보와 언어정보를 저장하는 두 가지의 다른 기억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작업기억의 분산처리와 함께 이용)

도식 활성화 - 새로운 지식이 기존 지식과 연결될 수 있도록(목적) 적절한 사전지식을 활성화시키는 부호화 전략

반응형

장기기억에서 지식의 인출(부호화의 반대)을 촉진하는 요인 - 경로의 다양화(부호화) 및 속도의 증가(자동화)

유의미학습(부호화) -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과 연관시켜 새로운 정보를 정착시킬 장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인출의 경로를 다양화한다. + 인지적 부하를 줄여 작업기억의 용량 확보에도 효과적이다.

(부호화 특수성 - 인출과 부호화 맥락이 일치할 때 인출이 잘 됨/ 설단현상 - 부호화가 잘 안되어 인출이 잘 안 됨)

완전학습 - 자동화가 되어 인출의 속도가 빨라지고, 의식적 노력을 줄여 작업기억 용량 확보에 효과적이다.

반복학습 - 도식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지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사전지식을 활성화한다.

기억술 - 한 가지 정보가 기존 정보와 더 많이 연합될수록 기존의 정보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많아진다.

 

장기기억 속 지식

선언적 지식(사실, 개념, 규칙을 아는 것) - 명제/심상/도식형태(유의미하게 조직화된 인지구조, 심상과 명제 조합)

+ 선택적 주의와 지각 그리고 정보의 표상과 회상(사전지식이 풍부하면 잘 이해, 파지, 인출)에 영향

+ 선언적 지식은 개념, 원리, 관계에 대한 기억인 의미기억과 개인적(정서적) 경험에 대한 기억인 일화기억으로 나뉨

절차적 지식(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암묵적 지식, 실제 행동) -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습득하며 산출 = 조건-행위 규칙‘(만약 ~한다면 ~한다)으로 저장된다. - ex)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능력(실제 행동)

조건적 지식(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언제, 어디서, 왜 활용할 것인가 - 학습, 기억, 사고를 조절) -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연결된 명제 망으로 저장된다. - ex) 자전거를 타다가 장애물을 만날 때 핸들을 왼쪽으로 돌림

 

2. 망각 - 장기기억으로부터 정보를 소실하거나 인출할 수 없는 것

간섭설 - 순행제지(이전의 요소가 영향을 줌), 역행제지(이후의 요소가 영향을 줌), 계열위치효과(순행+역행- 중간내용을 기억하지 못함) - 밀접한 개념을 함께 가르치거나, 복습을 통해 주제 간 관계를 강조 - 유의미한 부호화

② ⑴ 부호화 특수성(인출은 정보가 부호화된 맥락과 방식에 의존한다), 유의미성(장기기억 속에 있는 지식들이 더 자세하고 밀접하게 연결되어 경로가 다양해짐으로써 인출이 용이해진다), 자동화를 통해 인출을 쉽게 할 수 있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 학습 직후 가장 많이 망각되며, 유의미화 과정을 거친 것이 가장 오래 기억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교육학개론(7) - 교육심리 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