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내용정리/국어내용정리

조선 전기 평시조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오백 년 도읍지를, 흥망이 유수하니, 수양산 바라보며, 천만리 머나먼 길에, 마음이 어린후니, 어져 내 일이야)

by 늦깎이 학생 2024. 5. 16.
728x90
반응형

오백 년 도읍지를 - 길재

현대어 풀이

오백 년 (동안 이어져 온) 도읍지를 홀로 말을 타고 돌아 들어가니 산천은 옛날 그대로 변함이 없는데 인걸은 간데없다. 아아(고려 왕조의) 태평연월이 꿈이던가 하노라.

작품 분석

  • 화자: 명시되지 않음.
  • 상황: 홀로 말을 타고 옛날 고려의 도읍지(개성)를 방문함.
  • 정서나 태도: 고려의 패망을 한탄하며 태평했던 시절에 대한 무상감을 드러냄.
  • 설명: 고려의 충신이었던 길재가 말을 타고 고려의 옛 도읍지를 돌아본 후 망국의 한을 표현한 작품. 자연은 변함없지만, 사람들은 사라진 것을 통해 과거에 대한 무상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망국의 한과 인생무상
  • 특징:
    • 종장 첫머리의 감탄사로 시상을 집약함.
    • 영탄적 어조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 대구와 대조를 통해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EBS 연계 교재에 여러 번 수록된 작품으로, 출제 가능성이 높다. 시대적 배경, 화자의 상황과 정서, 작품에 나타난 대비적 관계 등을 잘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오백 년 도읍지를, 오백년 도읍지를,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길재 오백년 도읍지를,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길재 오백 년 도읍지를, 흥망이 유수하니,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흥망이 유수하니 해석, 수양산 바라보며, 수양산 바라보며 해석,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반응형

천만리 머나먼 길에,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왕방연 천만리 머나먼 길에, 마음이 어린후니, 마음이 어린 후니, 마음이 어린 후니 하는 일이 다 어리다, 어져 내 일이야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현대어 풀이

(나라의) 흥하고 망함이 운수에 달렸으니 만월대도 가을 풀만 무성하구나. 오백 년 (고려의) 왕업이 목동의 피리 소리에 깃들어 있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작품 분석

  • 화자: 명시되지 않음.
  • 상황: 고려가 몰락한 후 잡초로 무성한 옛 궁궐터를 방문함.
  • 정서나 태도: 고려 왕조의 몰락을 한탄하며 세월의 무상감을 드러냄.
  • 설명: 고려의 유신 원천석이 잡초로 무성한 고려의 옛 왕궁 터를 방문하고 난 감회를 읊은 작품. 고려 왕조의 몰락으로 인한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을 '추초' '목적' 등의 시어를 통해 감각적으로 형상화함.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고려 왕조의 멸망에 대한 탄식과 무상감
  • 특징:
    • 비유와 중의적 표현을 통해 주제 의식을 형상화함.
    • 영탄적 표현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강하게 드러냄.
    •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해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2014학년도 수능 AB형에 출제되었으며, 왕방연의 시조, 임제의 시조와 함께 지문이 구성되었고, 화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문항, 정극인의 「상춘곡」과 비교하여 감상하는 문항이 출제됨.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현대어 풀이

수양산을 바라보며 이제(백이와 숙제)를 원망하노라. 굶주려 죽을지언정 고사리를 캐 먹어서야 되겠는가. 비록 산과 들에 자라는 풀인들 그것이 누구의 땅에 났더냐.

작품 분석

  • 화자: 명시되지 않음.
  • 상황: 수양산을 바라보며 백이와 숙제가 고사리를 캐 먹은 것을 비판함.
  • 정서나 태도: 백이와 숙제를 비판하며 그들보다 더 굳은 절의를 지킬 것을 다짐함.
  • 설명: 세조를 따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은유적으로 드러낸 작품. 백이와 숙제가 캐 먹은 고사리 또한 주나라 땅에서 난 것이라는 비판을 통해 자신이 더 굳은 절개의 소유자임을 강조함.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단종을 향한 굳은 절의와 지조
  • 특징:
    • 설의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 중의법을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비판을 은유적으로 드러냄.
    • 새로운 시각으로 백이와 숙제를 평가하여 자신의 절의를 부각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4종에 수록되었고, 2018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도 수록됨.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작가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현대어 풀이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임과 이별하고 내 (슬픈)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더니 저 물도 내 안(마음)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흘러가는구나.

작품 분석

  • 화자: '나‘ 중장의 '내 마음', 종장의 '내 안 같아서'에 화자가 드러남.
  • 상황: 임을 먼 곳에 두고 돌아오는 길에 냇가에 앉음.
  • 정서나 태도: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괴로움을 드러냄.
  • 설명: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유배될 당시, 단종을 유배지까지 압송하는 임무를 맡았던 왕방연이 자신의 비통한 심정을 노래한 연군가. 단종과 이별하고 돌아오는 길에 느낀 안타까움과 죄책감을 시냇물에 의탁하여 드러냄.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임(단종)과 이별하고 돌아오는 길에 느낀 애달픔
  • 특징:
    • 과장된 표현을 통해 임과의 거리감을 강조함.
    • 화자의 슬픔과 죄책감을 자연물에 투영하여 표현함.
    • '밤'의 어두운 이미지를 통해 화자의 암담한 심정을 부각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2014학년도 수능 AB형에 출제되었고, 2021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 수록됨. 시적 화자의 정서와 그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이 특징적인 작품.


마음이 어린후니 - 서경덕

현대어 풀이

마음이 어리석고 보니 하는 일이 다 어리석다. 겹겹이 구름 덮인 산에 어느 임이 오랴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작품 분석

  • 화자: 명시되지 않음.
  • 상황: 임을 기다리고 있음. 작은 소리만 들어도 임이 온 것으로 착각함.
  • 정서나 태도: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며 자신의 마음이 어리석다고 자책함.
  • 설명: 조선 중종 시기의 도학자 서경덕이 남긴 평시조. 임이 올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임을 기다리는 안타까운 마음을 노래한 작품. 임을 기다리는 화자의 그리움과 어리석음을 보여줌.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임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
  • 특징:
    •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정을 노래함.
    • 과장법을 통해 임이 오기 어려운 시적 상황을 강조함.
    • 자연물을 활용하여 화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8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 수록된 작품.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화자의 정서와 관련하여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하는 문항이 출제될 가능성이 있음.


어져 내 일이야 - 황진이

현대어 풀이

아아내가 한 일이야 그리워할 줄을 몰랐다. 있으라 했더라면 갔겠냐마는 제 구태여 보내고 (이제 와서) 그리워하는 마음은 나도 모르겠구나.

작품 분석

  • 화자: '나‘ 초장의 '내 일이야', 종장의 '나도 몰라 하노라'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상황: 떠나려는 임을 붙잡지 않아 결국 임과 이별함.
  • 정서나 태도: 임을 붙잡지 않은 일을 후회하며 임을 그리워함.
  • 설명: 조선 시대의 기녀 황진이가 쓴 평시조로, 이별한 이후 느끼는 쓸쓸함과 아쉬움을 노래한 작품. 자존심과 연정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한 여인의 심리를 섬세하게 형상화함.

핵심 정리

  • 갈래: 평시조
  • 주제: 임을 떠나보낸 일에 대한 후회와 임에 대한 그리움
  • 특징:
    • 이별한 이후의 아쉬움과 회한을 진솔하게 드러냄.
    • 감탄사와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 도치법 혹은 행간 걸침의 기법을 이용하여 화자의 감정을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4년도 7월 고3 학평 AB형에 출제되었던 작품. 화자의 심리와 태도를 파악하는 문항, 구절의 표현상 특징을 파악하는 문항이 출제될 가능성이 높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