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마소두래기

교육학개론(25) - 교수학습이론 3편

by 늦깎이 학생 2022. 5. 3.
반응형

* 구성주의 교수이론 - 지식이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되는 주관성과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형성되는 맥락적인 성격을 가짐. 따라서 교사는 최적의 자료를 제공(인지적)하고 지식을 창출하는 노하우를 모델링을 통해 제공(사회적)

1. 구성주의 교수이론의 원리 - 지식기반사회(지식의 폭발적인 증가)에서는 지식을 변화, 발전시키는 능력이 가장 필요

고등정신능력(실제적 능력) -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면의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안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 - 인지적 유연성, 반성적 사고 / 분석, 적용, 종합, 평가(가치판단) 능력

실제적 과제 제시 - 학습자는 실생활에서 부딪칠 수 있는 실제적인 과제(참 과제)를 통해 유의미한 맥락에서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 - 학습자들은 앞선 동료나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습

교사는 풍부한 학습 환경, 정보, 학습방법을 제공하고(안내자) 피드백과 도움을 제공해서 의미 구성을 촉진(촉진자)

생성적 학습 - 개방형 질문과 비구조적 과제를 사용하여 학생들을 지식의 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다.

 

2. 구성주의 교수이론의 평가

학습자 스스로 이해를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는 피드백 제공 - 학습자들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때문에 학습주제에 대한 개인의 이해는 다양하며, 오 개념도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지식구성이 가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해서 학생들의 이해가 정확하지 않을 때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을 촉진하여야한다.

과정 중심의 평가 - 구성주의 수업에서의 평가는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 대한 평가로 초점을 변화시킴으로써 평가를 통하여 학습을 촉진하여야한다.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평가 -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평가 또한 학습자들의 다양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인지적 도제이론 - 전문가가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지식과 인지과정 그리고 메타인지적 기술을 익힘(비고츠키)

전개: 모델링(시범을 통해 인지적 (추론)모형을 구성하고 수행을 학습), 코칭(학습자를 대화와 협력으로 조력), 스캐폴딩(학습자가 어려움에 봉착한 구체적인 부분에 피드백을 제공해 도움), 페이딩(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상보적 교수(읽기) - 학생과 교사의 역할을 변경하고 대화함으로써(학생의 시범 및 피드백) 요약, 질문(요점에 대하여), 명료화(어려운 부분을 확실하게), 예측(다음내용)과 같은 4가지 인지, 메타인지적 독해전략을 배운다.

안내(전략에 대한 명시적 설명) - 교사의 시범 - 학생의 시연 및 교수적 지원(피드백) - 자기학습

반응형

4. 상황학습 - 학습자는 특정한 신념과 행동을 습득하기 위해 실천사회(실제 상황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제공하는 환경)에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사회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문화에 점점 활동적으로 참여(문화적응)하게 된다.

 

5. 상황정착(앵커드) 수업이론 - 현실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론

지식과 기능이 고유한 맥락 안에서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지식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유도

공학에 기초 - 실제적인 맥락을 포함한 문제해결환경을 공학을 통하여 제시(정보의 실제성, 문제상황의 실제성)

생성적 학습 - 일반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구체적인 내용과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다양한 문제해결방법을 허용

 

6. 문제중심학습 - 문제해결학습은 듀이가 창안한 개념이며 이는 생활중심교육에 초점(18)

+ 프로젝트 학습법(구안법) - 학생들이 스스로 현실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학습과제로 구성하여 협력을 통해 해결

 

7. 인지적 유연성(상황 의존적 스키마 연합체) 이론 - 지식의 전이성을 효과적으로 증진

인지적 유연성 - 급변하는 상황적 요구에 대하여 여러 지식의 범주를 넘나들며 자신의 지식, 기능, 관점을 즉흥적으로 재구성, 전환하여 적절하게 대처하는 능력(상황 의존적 스키마로 구성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

비규칙성과 복잡성이 포함된 과제와 환경에서 비구조화된(비정형적인) 고급 지식을 다룸으로써 상황 의존적 스키마로 구성된 복잡하고 비순차적이며 다차원적인 지식을 재현하고 형성할 수 있다.(인지적 유연성을 기를 수 있다)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지식의 본질을 학습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교수설계 - 다양한 지식의 표상(학생들이 충분히 다룰 수 있는 정도의 복잡성을 지닌 과제를 세분화하여 소규모의 예들로 제시), 재학습(동일한 학습과제를 반복), 조망교차(임의적 접근학습, 십자형 접근) - 동일한 텍스트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해석하도록 하여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며, 가르치는 순서도 재배치해보고, 그 특정 과제와 연결하여 가능한 많은 예들을 다루어보는 방법

하이퍼텍스트(미디어) 활용 - 비선형적이고 다중적인 관점을 내포하는 자료를 제작하고 구성하는 학습 환경을 설계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교육학개론(25) - 교수학습이론 3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