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마소두래기

교육학개론(32) - 교육과정 3편

by 늦깎이 학생 2022. 5. 4.
728x90
반응형

* 교육과정 개발 모형(교육과정 설계)

1. 타일러의 합리적 개발 모형 -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평가로 구성 - 서로 직선적 계열성을 가지고 순환

교육목표는 세 가지 원천(학습자, 사회적 실효성, 전문가의 견해)을 통해 잠정적인 목표 설정 후, 교육철학(바람직함)과 학습심리학(학습가능성)을 기준으로 검증을 거친 후, ‘내용과 행동(이원적)’으로 구체적 목표를 진술

+ 구체적 행동에 대하여 블룸은 인지적(지식-이해-적용-분석-종합-평가)영역, 정의적 영역, 운동 영역으로 세분화

교육내용의 선정 원리는 기회(목표가 의도하는 행동을 학습자가 스스로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만족(학생이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야), 가능성(학습자의 능력과 발달수준에 알맞아야)의 원리로 이루어짐

교육내용의 조직 방식 - 계속성(반복), 계열성(점차 심화 및 확대), 통합성(지식과 지식의 관계 - 안목을 형성)(17)

평가의 요소는 목표 도달여부, 교육과정의 장, 단점파악 (타당성 검증), 효율성 등이 있다.

 

2. 타바의 귀납적 접근의 교육과정 개발

귀납적 접근 - 학교 또는 교과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원을 개발 한 후 보편적인 교과를 형성

교육과정은 교사에 의해서 개발되어야 하며, 개발은 교사가 수업수준에서 교수·학습 단원을 만듦으로써 시작된다.

시험적인 단원 개발(요구진단 - 목표설정 - 내용선정 및 조직 - 학습경험 선정 및 조직) - 실행(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수준의 학년에 적용) - 수정·보완(모든 유형의 학급과 교과영역에도 잘 맞는 보편화된 교육과정 개발) - 스코프(전체 범위)와 시퀀스(계열성)에 따라 단원 배열 및 검증 - 보급(교실의 실제 수업에 본격적으로 투입)

 

3. 스킬백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타일러의 모형은 모든 학교에 보편적으로 적용)

상황분석 - 상황을 구성하는 (학교)외적요인(사회 문화적 변화, 교육체제의 요구, 변화하는 교과의 성격)과 내적요인(학생의 적성, 능력과 교육적 요구, 교사의 가치관, 지식 및 경험, 학교의 환경과 정치적 구조)을 분석함으로써 시작

+ 상황분석(교육과정이 개발되는 다양한 맥락과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부과되는 내적 압력을 종합적으로 검토)을 통해 학교, 교사, 학생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교육의 자율성으로 이어진다.

상황분석에 기초하여 교육적 행위의 방향을 제시하는 구체적인 목표설정이 가능하다.

해석과 실행단계에서는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관련 이론과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해결

개방된 상호작용 모형 - 개발자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단계에서 개발을 시작할 수 있으며(타일러와 차이점), 각 단계를 마음대로 넘나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몇 단계를 결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역동성과 융통성을 가진다.

 

2. 아이즈너의 예술적(미묘함, 섬세함) 교육과정 개발 - 교사는 교육과정 현상에 대한 교육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질적 탐구를 강조 - 개인이 의미를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관찰하기 위해

목표와 우선순위 결정 - 표현적 결과(학습 과정과 학습 후에 드러나는 목표)를 주장, 목표 결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협상하고 거래하는 과정 자체가 예술적

교육과정 내용 및 학습경험 제공 - 해당 내용이 학생들에게 유용한 것인지를 기준으로 내용선정(영 교육과정도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상상력을 통해 목표와 내용을 학생에게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학습기회의 조직 - 거미줄 모형의 방식으로 학습기회를 조직(다양한 학습 자료와 학습 활동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습 결과 도출) - 교사는 학생들이 목표나 흥미를 갖도록 이끄는 안내자 역할, 학생들은 선택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평가 - 평가는 교육과정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전 과정에 걸쳐 실시되어야 함. 따라서 교사는 교육과정 개발의 전체 과정과 학생들의 미묘한 질적 차이를 통찰력과 직관으로 감지하는 교육적 감식안이 필요, 이것의 언어적 표현인 교육비평{교육문제를 기술, 해석(의미를 부여)하고 평가(교육적 중요성), 주제화(결론)}능력도 필요

+ 교육적 감식안의 전체과정 - 의도적 차원(학교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구조적 차원(학교가 조직되는 방식; 가르치는 내용의 조직(교과라는 이름으로 분리), 수업시간의 조직, 학생과 교직원을 조직), 교육과정 차원(교육 내용과 목표의 질적 우수성, 교과 간 관련성), 수업적 차원(전달을 위해 교사가 사용하는 모든 활동), 평가적 차원(시험 문제의 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