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교육철학 2.
+ 하버마스
⒜ 도구적 합리성 - 목적 달성에 가장 효율적인 수단을 선택하고 추구하는 이성 - 비판적 사고력과 인간의 존엄성 ↓
⒝ 의사소통적 합리성 - 타자성을 인정하고 공동행위에 대한 합의적 지식관을 성취하는 이성 - 의사소통능력 발달
+ 의사소통능력 - 자신의 삶과 연관된 내용에 관해 비판적 사고를 통해 서로의 관점을 조정하고 합의해 나가는 능력
⒞ 이상적 담화상황(자유롭고 민주적인 대화)에서 사회문제를 공론화하여 자유롭게 토론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 프레이리
⒜ 의식화 교육론 - 비판적 사고능력과 자기성찰(반성)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나를 억압하는 모순들을 의식하고(의식화) 지속적인 자기검열과 실천(프락시스)을 통해 자유로운 행동인이 됨으로써 인간의 해방을 실현
⒝ 은행저금식 교육을 거부하고 문제제기식 교육(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자유로운 대화와 비판적 읽기와 쓰기와 같이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상호작용의 관계 속에서 학습이 진행된다)을 통해 비판적 사유능력을 함양
5. 홀리스틱 - 만물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상호연관성인 ‘관계성’에서 실재를 봄.(모든 것은 다른 모든 것에 연계된다)
① 균형(양극적으로 대립되는 요소들 사이의 균형, 분석적이고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서 탈피), 포괄(수업의 원리에서 전달(일방적 전달), 교류(대화를 통한 지식의 재구성), 변용(기술과 환경의 조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단계) 모두 포괄), 연관(사물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여 통합을 도모하는 것)
② 통합교육 - 다른 과목과 연결해 통찰력(돌연적 사고를 통해 지식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 / 방법의 전체성 - 여러 가지 다른 교수 방법 사이에 관계를 만들어 활용한다.
③ 전인교육(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 전문적 학습공동체(관계성, 통합성), 지역사회와 연계
6. 현상학
① 참여자가 현상에 대해 능동적이고 주관적으로 의미부여를 하고, 선입견과 판단(현상을 왜곡)을 배제한 채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직관적 앎(의식)을 통해 절대적인 앎에 대한 본질적인 탐구를 목적 - 진정한 앎의 방법론(현상학적 환원)
+ 현상학적 환원 - 물질세계의 사물이 의식세계의 사물로 전환되는 것, 의식적(주관적) 경험
② 교육에서 직관을 중시 - 직관을 통해서 주어지는 개별적이고 특수한 진리만이 살아있는 진리이며 이를 통해서만이 사물의 참모습을 직관할 수 있다. (맥락을 존중하지만, 동시에 그것에 얽매이려는 태도를 부정)
③ 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관점을 부정(주관과 객관(의식과 의식이 지향하는 대상)의 관계 및 통합 속에서 의미와 경험이 구성되어 진정한 세계의 참모습이 드러난다고 본다)하고 비연속성(직관적 경험을 통한 순간적 깨달음)을 중시
④ 예술적 교육과정(아이즈너, 예술이 직관력 향상에 효과적), 체험중심교육(창의적 체험활동), 구성주의
7. 해석학 - 기존의 지식(역사성, 선입견)을 이용하여, 주관적으로 의미부여(현상학과 공통)를 통한 이해(재창조의 과정)
① 텍스트에 접근하는 독자가 가지고 있는 역사성이 텍스트 해석에서 가장 주요하게 고려되어 하며, 해석적 이해는 개방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요소들과 융합하여 계속적으로 확장(해석학적 순환 - 전체 이해와 부분 이해의 순환)
② 계속되는 이해와 재해석 속에서 선입견이 보다 분명해지고 이해능력이 깊어져서 두 개의 선입견이 용해되어 더 높은 이해에 도달, 이해의 지평을 확장 - 지평융합(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그것이 독자의 현재 상황에 갖는 의의와 통합)
③ 서로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고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리적 사고와 비판적 태도를 도야하여 서로 다른 삶의 선택방향(다양한 관점)을 알아간다.(대화적 지식 - 무엇을 통합하고 거부할지 분별할 줄 아는 실천지)
8. 포스트모더니즘 - 정형화된 틀(보편성, 객관성, 절대성)을 비판하고 다양성과 개성 그리고 상황의 특수성을 강조
+ 구성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 - 인간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지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관한 객관주의(행동주의, 인지주의)를 거부하고, 지식이란 구체적 상황 속에서 인간에 의하여 의미가 부여되며 구성된다고 생각
+ 푸코 - 교육의 주된 관심은 특정 담론들의 정상화 과정이다.
⒜ 지식은 권력에 속해있다(지식과 권력의 불가분 관련성) - 권력적인 속성만 교과서에 넣고 나머지는 버려진다.
⒝ 교육은 정상화와 규율화의 기제이다(학교는 감옥이랑 같다) - 관찰, 규범적 판단(상벌제), 검사(시험)를 통해 훈육
9. 신자유주의 - 수요자 중심의 교육(학교의 자율성과 경쟁) - 교육의 다양성(다양한 수요자의 필요와 요구), 교육의 질(수월성과 효율성)이 커지지만 / 교육의 상품화(인격적 주체 간 관계라는 교육의 본질 훼손)와 사회의 양극화는 심화
+ 학교선택제 - 수요자가 학교를 선택(특수교육) - 교육의 공공성(공익과 공동선)을 추구하도록 국가의 관리가 필요
'이모저모 > 마소두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개론(5) - 교육심리 2편 (0) | 2022.05.02 |
---|---|
교육학개론(4) - 교육심리 1편 (0) | 2022.05.02 |
교육학개론(2) - 교육철학 2편 (0) | 2022.05.02 |
교육학 개론(1) - 교육철학 1편 (0) | 2022.05.02 |
교육학 개론(0) (0) | 2022.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