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등 내용정리/국어내용정리21

조선 전기 가사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상춘곡, 만분가, 면양정가, 규원가) 상춘곡 정극인현대어 풀이서사 속세에 묻힌 분들(이여), 이내 생애가 어떠한가옛사람들의 풍류에 미칠까 못 미칠까이 세상에 남자 몸이 나만 한 이 많건마는산림에 묻혀 있다고 지극한 즐거움을 모르겠는가몇 칸 안 되는 작은 초가집을 푸른 시내 앞에 두고소나무와 대나무가 울창한 곳에서 자연을 즐기는 사람이 되었구나본사 1 엊그제 겨울 지나 새봄이 돌아오니복숭아꽃과 살구꽃은 석양 속에 피어 있고푸른 버들과 향기로운 풀은 가랑비 속에 푸르도다칼로 마름질했는가, 붓으로 그려 내었는가조물주의 신기한 솜씨가 사물마다 야단스럽다수풀에서 우는 새는 봄기운을 이기지 못해 소리마다 교태로다본사 2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되니 (그들과 나의) 흥인들 다르겠는가사립문 주빈을 걸어 보고 정자에 앉아 보니이리저리 슬슬 거닐면서 나지막이 시.. 2024. 5. 14.
조선 후기 평시조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짚방석 내지 마라~ / 꿈에 다니는 길이~ / 사랑이 거짓말이~ / 동창이 밝았느냐~ / 국화야 너는 어이~) 짚방석 내지 마라~ 한호현대어 풀이짚으로 만든 방석을 내어놓지 마라. 낙엽에 앉으면 되지 않겠느냐? 솔불을 켜지 마라. 어제 진 달이 떠오른다. 아이야, 변변치 않은 술과 산나물이라도 없다고 하지 말고 알고 내오너라.작품 분석감상 루틴 3단계화자는? 명시되지 않음.상황은? 달빛 아래 낙엽을 방석 삼아 앉고자 하며, 변변치 않은 술과 산나물을 마다하지 않음.정서나 태도는? 자연 친화적이며 소박한 삶에 만족하는 태도를 드러냄.내용 해석이 작품은 화자가 산촌의 어느 마을을 방문한 상황을 다루고 있다. 짚방석과 솔불을 마다하고, 낙엽 위에 앉아 달빛을 받으며 산나물을 안주 삼아 술을 마셔도 좋다고 함으로써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의 풍류를 즐기려는 소박한 삶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핵심 정리갈래: 평시조주제:.. 2024. 5. 14.
송강 정철 작품 분석 / 현대어 풀이 / 핵심 정리(내 마음버혀 내여, 어와 동량재를, 장진주사, 훈민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내 마음 베어 내어 별, 달을 만들고 싶네현대어 풀이내 마음을 베어 내어 별과 달을 만들고 싶습니다. 그것이 아득히 높고 먼 하늘에 환하게 걸려 있어서 고운 임 계신 곳에 가 비추어 보리라.작품 분석화자는?‘나’ 초장의 '내 마음 버혀 내어'에서 화자가 드러납니다.상황은?임과 떨어져 있어 임을 향한 마음을 전하기 어려운 상황임.정서나 태도는?아득한 하늘에서 임을 비추겠다고 말하며 임을 향한 그리움과 충심을 드러냄.이 작품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형상화한 평시조입니다. 조선 사회에서 충의(忠義)는 신하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이었고, 이 시조는 자신의 마음을 칼로 베어 별과 달을 만들어 임이 계신 곳을 비추고 싶다는 충성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핵심 정리갈래: 평시조주제: 임(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 2024. 5. 14.
반응형